티스토리

은하의 기록소
검색하기

블로그 홈

은하의 기록소

link.eunhah.com/m

일상 이야기를 하는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13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개인정보처리방침 모두보기
반응형

주요 글 목록

  • NVIDIA GeForce RTX 4060 사용기 2023년 6월 말 엔비디아(NVIDIA)에서 출시한 지포스 RTX 4060은 애매한 성능으로 인해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는 제품입니다. 이전 세대인 3060 Ti 보다 게이밍 성능이 뒤쳐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 세대에서 4060과 비슷한 위치의 제품인 3060이 2070과 성능이 비슷했었고, 2060은 1070 Ti와 비슷했던 것과 비교하면 확실히 더 낮은 성능임은 분명합니다. 더보기 NVIDIA GeForce RTX 4060 사용기 2023년 6월 말 엔비디아(NVIDIA)에서 출시한 지포스 RTX 4060은 애매한 성능으로 인해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는 제품입니다. 이전 세대인 3060 Ti 보다 게이밍 성능이 뒤쳐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 www.eunhah.com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 22.
  • 컴퓨터 조립기(AMD 라이젠 5600G) 2021년 AMD에서 출시한 라이젠(RYZEN) 5 세잔(Cezanne)은 TSMC의 7 나노 공정으로 제조(ZEN 3)된 CPU입니다. 출시된 지 2년이 넘게 지난 CPU이지만 아직까지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모델인데, 가격 대비 성능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CPU의 가격이 약 15만원 정도에 불과하며, 할인 판매 또는 해외 직접 구매를 잘 이용한다면 약 10만원 초반에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기도 합니다. 더보기 컴퓨터 조립기(AMD 라이젠 5600G) 2021년 AMD에서 출시한 라이젠(RYZEN) 5 세잔(Cezanne)은 TSMC의 7 나노 공정으로 제조(ZEN 3)된 CPU입니다. 출시된 지 2년이 넘게 지난 CPU이지만 아직까지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모델인..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 20.
  • WD Elements 14TB HDD 사용기 일전 도시바(TOSHIBA) X300 8TB HDD 사용기를 작성할 때, 하드 디스크(HDD)에서 사용하는 CMR과 SMR이라는 디스크 트랙 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 바가 있습니다. 당시 SMR 방식이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 외에는 CMR 방식에 비해 HDD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 속도도 떨어지고, 데이터 안정성도 불안정하다는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오늘 사용기를 작성할 웨스턴 디지털(WD)의 엘리먼츠(Elements)는 외장 HDD의 브랜드명으로, 주로 SMR 방식의 HDD를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SMR 방식의 HDD가 좋지 않다는 말은 앞서 많이 이야기했으니 생략하고, 그러면 이 좋지 않은 HDD를 도대체 왜 샀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더 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더보기 WD Elem..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2. 7.
  • 도시바(TOSHIBA) X300 8TB HDD 사용기 2022년 현재 범세계적 규모의 하드 디스크(HDD) 제조사는 웨스턴디지털(Western Digital, WD), 시게이트(Seagate), 도시바(TOSHIBA)의 세 회사만 남아 있습니다. 아무래도 전통적인 자기 디스크 형태의 하드 디스크 시장은 점점 축소되고 있으며 이제는 기술 및 공정의 혁신보다 가격 경쟁력의 우위가 더 중요한 쇠퇴기의 시장이니 어쩔 수 없는 현실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방금 쇠퇴기의 시장이라고 말한 것이 무색하게, 최근 HDD에서 발생한 공정 혁신이 있습니다. 바로 SMR(Shingled Magnetic Recording, 기와식 자기 기록) 방식의 디스크 트랙 구성입니다. 더보기 도시바(TOSHIBA) X300 8TB HDD 사용기 글쓰기, 여행, 원예, 게임, 각종 제품과 미디..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2. 2.
  • 크루셜 발리스틱스(Micron Crucial Ballistix) 32GB 3200MHz DDR4 RAM 구매 후기 요즈음의 해외직구는 배송이 조금 느리고, 원칙적으로 재판매가 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면 국내 구매와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편리해졌습니다. 특히 제품의 품질이 균등하고 불량률이 낮으며 부피가 작은 공산품의 경우 국내 판매가에 비해 해외 제품의 가격이 더 싼 경우도 많기 때문에 AS를 포기한다면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해외 구매가 상당히 좋은 선택지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더보기 크루셜 발리스틱스(Micron Crucial Ballistix) 32GB 3200MHz DDR4 RAM 구매 후기 글쓰기, 여행, 원예, 게임, 각종 제품과 미디어 사용기 및 평가 이야기를 하는 개인 블로그입니다 www.eunhah.com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2. 1.
  • ASUS 그래픽카드(nVIDIA) 쿨러 속도 조절 방법 어찌 보면 당연한 말이지만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다 보면 카드의 쿨러(팬) 소음이 거슬리거나, 팬의 내구년수 경과로 인해 제대로 작동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럴 경우 예전에는 사제 쿨러로 교체를 하거나 제조사 또는 유통사로 AS를 보내곤 했었는데, 요즘은 의욕 자체가 떨어지기도 했고 예전에 비해 팬의 분리 및 교체가 어려운 경우도 많아 교체가 애매한 경우가 자주 생기고는 합니다. 더보기 ASUS 그래픽카드(nVIDIA) 쿨러 속도 조절 방법 어찌 보면 당연한 말이지만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다 보면 카드의 쿨러(팬) 소음이 거슬리거나, 팬의 내구년수 경과로 인해 제대로 작동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럴 경우 예전에는 사 www.eunhah.com 공감수 2 댓글수 0 2021. 3. 7.
  • 1990년대~2000년대 초반 PC용 CPU 등 부품 몇 가지 얼마 전 창고를 정리하다 뜻밖의 물건을 찾았습니다. 90년대에 출시된 CPU 및 RAM을 발견하였기 때문입니다. 물론 2020년 지금 시점에서 사용하기에는 성능도 그렇지만 작동을 위한 주변 기기도 구할 수 없고, 무엇보다 작동 자체가 가능할지 심히 의문입니다. 그래서 이 물건들이 단순히 장난감 또는 장식품의 역할 이상을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오래간만에 과거의 추억을 상기시킬만한 소재를 찾아 상당히 반가운 마음도 들었습니다. 더보기 1990년대~2000년대 초반 PC용 CPU 등 부품 몇 가지글쓰기, 여행, 원예, 게임, 각종 제품과 미디어 사용기 및 평가 이야기를 하는 개인 블로그입니다www.eunhah.com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7. 31.
  • 컴퓨터 조립기 하편(인텔 스카이레이크) 앞선 글인 컴퓨터 조립기 상편(인텔 스카이레이크)에 이어 작성한 게시물입니다. 보드 측면, 조립 후 컴퓨터의 후면이 되는 부분의 모습입니다. 보드와 연결되는 각종 포트의 모습이 보입니다. 가끔 외장 그래픽 카드를 장착하여 놓고도 모니터 DVI 포트를 내장 그래픽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실수를 하는 분들이 인터넷 상에서 종종 보이는데, 음…… 조심하는 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더보기 컴퓨터 조립기 하편(인텔 스카이레이크) 글쓰기, 여행, 원예, 게임, 각종 제품과 미디어 사용기 및 평가 이야기를 하는 개인 블로그입니다 www.eunhah.com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5. 2.
  • 컴퓨터 조립기 상편(인텔 스카이레이크) 2017년 초 기존에 쓰던 컴퓨터에 한계를 느끼고 업그레이드를 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인텔 7세대 카비레이크가 이미 출시된 상황이었지만, 윈도우 7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이 필요해서 OS를 바꾸기 어려웠던 시기이기 때문에 성능 차이가 크지 않은 6세대 스카이레이크 I7-6700K로 구매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스카이레이크까지는 USB를 이용하여 윈도우 7의 정상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설치 후 윈도우 업데이트 등을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컴퓨터 조립기 상편(인텔 스카이레이크) 글쓰기, 여행, 원예, 게임, 각종 제품과 미디어 사용기 및 평가 이야기를 하는 개인 블로그입니다 www.eunhah.com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5. 1.
  • Telxon BL82A (빨간불) Telxon사의 BL82A는 82키의 미니 키보드입니다. 스위치로는 체리사의 리니어 스위치(흑축)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청축이나 갈축과 같은 기계식 스위치라고는 하지만, 흑축의 경우 다른 스위치들에 비해 그 특이한 정도가 상당히 큰 스위치입니다. 더보기 Telxon BL82A (빨간불) 글쓰기, 여행, 원예, 게임, 각종 제품과 미디어 사용기 및 평가 이야기를 하는 개인 블로그입니다 www.eunhah.com 공감수 0 댓글수 17 2009. 1. 28.
  • 컴퓨터 조립기(AMD 페놈) 요즘 환율 상승 덕분에 컴퓨터 부품 값이 많이 오르긴 했지만 개인적으로 필요하였기 때문에 새로 컴퓨터를 한 대 조립했습니다. 컴퓨터 조립을 하기 전, 인증 용동로 사진을 몇 장 찍었기에 컴퓨터 조립기를 작성하여 볼까 합니다. 더보기 컴퓨터 조립기(AMD 페놈) 글쓰기, 여행, 원예, 게임, 각종 제품과 미디어 사용기 및 평가 이야기를 하는 개인 블로그입니다 www.eunhah.com 공감수 0 댓글수 14 2008. 12. 25.
  • VAAX ANAPA SRM-21 사용기 저는 로지텍의 MX-300을 몇 년째 써 오고 있었습니다. 성능은 제쳐두고라도 제 손에 딱 맞는 크기와 적당한 중량감, 상쾌한 클릭음과 요즘 나오는 마우스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디자인 등 모든 면에서 만족스러웠기 때문이죠. 마우스가 고장 나지 않는 이상 이 마우스를 계속 사용하게 될 것 같다는 생각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지금 쓰는 마우스에 아무런 불만동 없던 제가 새로운 마우스를 구입하고자 한 이유는, 일단 MX-300 자체가 많이 노화되었기 때문입니다. 겉의 칠이 벗겨진 것은 그다지 큰 신경을 쓰진 않습니다만, 마우스 스위치의 클릭감이 많이 죽고 가끔씩은 클릭이 되지 않는 경우도 생기더라고요. (아마 잦은 사냥의 결과로 생각됩니다) 다른 마우스를 구입하거나 스위치만 따로 사서 교체를 하던.. 공감수 0 댓글수 12 2008. 8. 7.
  • 애플 키보드 II (Apple Keyboard II) 애플 키보드 II는 러버돔 스위치 방식을 사용한 멤브레인 키보드입니다. 이 스위치 방식은 요즘 흔히 데스크톱에서 볼 수 있는 키보드 스위치의 형태입니다. 제작비가 비싼 기계식 등의 다른 스위치 방식보다 훨씬 저렴하게 생산이 가능하고, 외부 오염물질에 저항능력이 강하기 때문에 가정, 사무실 및 PC방 등을 필두로 가장 폭넓게 보급되어 있는 키보드 스위치 형태입니다. 흔히 보이는 4~5천원 정도의 극히 저렴한 키보드들이 이 방식의 물건들입니다(물론 상당한 가격의 고급형 멤브레인 키보드도 많습니다). 더보기 애플 키보드 II (Apple Keyboard II) 글쓰기, 여행, 원예, 게임, 각종 제품과 미디어 사용기 및 평가 이야기를 하는 개인 블로그입니다 www.eunhah.com 공감수 0 댓글수 4 2008. 6. 13.
  • 필코 마제스터치 미니 (Filco Majestouch Mini) 필코에서 나오는 마제스터치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국내에도 아이오매니아를 통하여 이미 많은 종류의 마제스터치가 수입되어 있고요. 개인적으로 마제스터치라는 키보드는 그 모양도 예쁘고 틀도 단단하여 굉장히 좋은 키보드라는 생각을 합니다. 저도 체리 청축 스위치를 사용한 마제스터치를 거의 2년 가까이 메인으로 사용해 왔고요. 그래서 최근 키보드매니아 장터에 나온 마제스터치 미니를 보고 냉큼 구매해버리고 말았습니다. -_-;;; 일반적인 마제스터치와는 약간 다른 생김새를 하고 있는 마제스터치 미니(라고 하지만 미니키보드라기에는 좀 크네요)는 아직 국내에 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한번 사용해보고 싶은 마음도 있었고, 조금 웃긴 이야기이지만 기계식 키보드에 관심이 많다는 주제에 아직까지 체리 갈축 스위치를 이.. 공감수 0 댓글수 6 2008. 6. 12.
  • 세진 SKM-1080 구입 및 사용기 세진 SKM-1080은 기계식 키보드로 후타바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원래 일본 후타바 공업에서 생산하던 이 스위치는 현재 원 개발사인 후타바사에서는 생산을 중단한 상태입니다. 지금 이 키보드에 사용되고 있는 스위치는 몇 군데 남지 않은 국내 키보드 생산회사인 세진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아직 후타바 스위치를 사용하는 회사가 세진밖에 없다는 말도 있고, 저의 경우도 세진키보드 이외의 회사에서 현재 후타바 스위치로 키보드를 생산하는 경우를 본 적이 없습니다. 따라서 중고품을 사지 않는 이상 후타바 스위치의 키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세진의 제품 이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생각이 드네요. 더보기 세진 SKM-1080 구입 및 사용기 글쓰기, 여행, 원예, 게임, 각종 제품과 미.. 공감수 0 댓글수 10 2008. 5. 15.
  • E6600@2.8G 기본전압 오버클럭 성공기 오랜만에 포맷을 해서 새로운 컴퓨터 환경을 접하게 되었습니다(그래 봤자 거기서 거기지만요 -_-). 그래서인지 갑자기 CPU 오버클럭킹이 당기더라고요. 그래서 기분가는대로 오버클럭을 시도해 보게 되었습니다. 물론 현재 제가 컴퓨터로 하는 일이라고 해 봤자 고화질 동영상 재생, 포토샵, 저사양 게임 정도뿐이라 오버클럭 따위의 작업은 전혀 필요 없습니다. -_- 게다가 오버 후의 전기세 압박을 생각해 보았을 때 도저히 전압을 더 주면서 오버를 할 마음 따위는 들지 않더군요. 그래서 기본 전압 상태에서 CPU 클럭과 램 타이밍을 최대한 올리는 방향으로 오버클럭을 시도하였습니다. 더보기 E6600@2.8G 기본전압 오버클럭 성공기 글쓰기, 여행, 원예, 게임, 각종 제품과 미디어 사용기 및 평가 이야기를 하는 .. 공감수 0 댓글수 0 2008. 4. 19.
  • 저소음 PC 만들기 - 2. 케이스 방진·방음·흡음 작업 저소음 PC 만들기 - 1. 부품 교체를 통한 소음 감소시키기에 이어 작성하는 글입니다. 저번에 작성한 내용과 같이 컴퓨터에서 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그 소음의 주원인이 되는 부품들을 하나씩 교체하여 나아가던 저의 계획은, 하드디스크를 만나면서 급격하게 틀어지기 시작하였습니다. 비록 하드 자체의 소음은 예전의 하드에 비해서는 없다고 해도 될 정도이고, 실제로도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의 작은 소리이기는 합니다. 그렇지만 하드의 진동에 영향을 받아 공진하는 케이스에서 발생되는 공진음은 정말로 심각한 수준이었습니다. 케이스 전체가 붕붕 떨려대면서 옆판 전체가 하나의 양철북처럼 울려댔으니 말이죠. -_-;; 게다가 진동을 잡아보겠다고 새로 구입했던 1T의 두께와 그에 걸맞은 무게를 보여주었던 랜드로바 케이스는.. 공감수 2 댓글수 6 2008. 3. 23.
  • 저소음 PC 만들기 - 1. 부품 교체를 통한 소음 감소시키기 제가 처음 컴퓨터의 하드웨어적인 성능 외의 요소에 관심을 가지게 된 건 PC의 소음 때문이었습니다. 취미가 취미이다 보니 컴퓨터를 그냥 켜고 잘 경우가 많았는데(파일 다운로드나 온라인게임 상점 열어두기 등 -_-) 밤새도록 윙윙거리면서 '삐-'하고 발생하는, 흔히 말하는 고주파음이 방안 가득히 울려서 짜증이 났었거든요. 그래서 이러한 소음을 잡기 위해 주어진 예산 제약 하에서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했습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역시 쿨링 부품입니다. 컴퓨터 쿨링에는 공랭식과 수랭식이 있는데, 수랭식의 경우가 일반적으로 더욱 조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지만 저는 예전에 수랭식을 잘못 설치했다가 크게 데인(누수……) 경험이 있기 때문에, 수랭식은 애초에 제외시켜 버렸습니다. 그리고 요즘 제품은.. 공감수 0 댓글수 2 2008. 3. 12.
  • 필코 마제스터치 (Filco Majestouch) 필코에서 만든 마제스터치는 제가 재작년 말쯤에 구입하여 지금까지 주 키보드로 쓰고 있는 제품입니다. 뭐 키보드 하면 거의 다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신 것으로 압니다만, 이쪽 세계(?)도 생각보다 다양한 제품과 특징이 존재하는 세상이더군요. 일단 기계식 키보드에 대한 강의 -_-를 하기에는 기존 키보드매니아라던지 여러 군데에서 저보다 훨씬 뛰어난 내공을 가지신 분들이 많이 계시기 때문에, 저는 간단히 제가 쓰는 제품에 대한 이야기만 할 생각입니다. 더보기 필코 마제스터치 (Filco Majestouch) 필코에서 만든 마제스터치는 제가 재작년 말쯤에 구입하여 지금까지 주 키보드로 쓰고 있는 제품입니다. 뭐 키보드 하면 거의 다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신 것으로 압니다만 www.. 공감수 0 댓글수 2 2008. 1. 21.
    반응형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